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은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아시아 지역 예선으로, 3차 예선을 통과한 10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 상위 2개 팀은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3위 팀은 최종 예선 후 플레이오프를 거쳐 최종 진출팀을 가렸다. A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와 일본이, B조에서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는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남은 0.5장의 출전권을 놓고 바레인과 사우디아라비아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바레인이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승리하여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은 20개 팀이 참가하여 5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각 조 상위 2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하는 월드컵 본선 진출 아시아 국가를 가리는 예선전의 세 번째 단계이다. - 2009년 4월 - 레슬매니아 XXV
레슬매니아 XXV는 2009년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열린 WWE의 연례 페이퍼뷰 이벤트로, 25주년을 기념하며 CM 펑크, 크리스 제리코, 언더테이커, 존 시나, 트리플 H 등이 경기를 펼쳤다. - 2009년 4월 - 2009년 라퀼라 지진
2009년 4월 6일 이탈리아 라퀼라 인근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6.3의 지진으로 라퀼라와 주변 지역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여 300명 이상의 사망자와 수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부실 건축과 지진 예측 논란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 2008년 11월 - 2008년 뭄바이 테러
2008년 11월 26일부터 29일까지 인도 뭄바이에서 파키스탄 기반의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 단체 라슈카르-에-타이바 소속 테러리스트들이 일으킨 연쇄 테러로 166명이 사망하고 293명 이상이 부상당했으며 주요 건물들이 파괴되었다. - 2008년 11월 - 2008년 뉴질랜드 총선
2008년 뉴질랜드 총선은 경제 성장 둔화와 사회 불안으로 노동당 정부의 지지율이 하락한 가운데 치러진 조기 총선으로, 국민당이 승리하여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
경기 기간 | 2008년 9월 6일 ~ 2009년 6월 17일 |
참가 팀 수 | 10 |
경기 수 | 40 |
최다 득점자 | 팀 케이힐 (오스트레일리아) 자바드 네쿠남 (이란) 박지성 (대한민국) 이근호 (대한민국) 파호드 타지예프 (우즈베키스탄) |
득점 수 | 3 |
이전 대회 | 2006 |
다음 대회 | 2014 |
2. 참가국 및 시드 배정
3차 예선에서 각 조 2위까지, 총 10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이 팀들은 네 개의 포트로 나뉘어 조 추첨을 진행했다. 1~3포트는 두 팀씩, 4포트는 네 팀이 배정되었다.[11]
1포트 | 2포트 | 3포트 | 4포트 |
---|---|---|---|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서는 각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총 8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드 배정은 2006년 FIFA 월드컵 성적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오스트레일리아(16강), 대한민국(1승 1무 1패) 순으로 1포트에 배정되었다. 이란(1무 2패, 득실차 -4),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순으로 시드가 배정되었는데, 일본과 사우디아라비아는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동률(1무 2패, 득실차 -5, 2득점)을 기록하여 조 추첨 전에 별도의 추첨을 진행했다. 그 결과 일본이 4위, 사우디아라비아가 5위로 결정되었다. 6위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바레인이 차지했고, 나머지 팀들은 시드 없이 추첨을 통해 2개 조로 나뉘었다.
최종 예선 조 추첨은 2008년 6월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
3. 경기 결과
색상 기준 style="background:#cfc; width:30px;"| 본선에 직행한 조 1위와 조 2위 팀 style="background:#ccf; width:30px;"| AFC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조 3위 팀 style="background:#ffcccc; width:30px;"| 조별 예선에서 탈락한 팀
자세한 경기 결과는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3. 1. A조
0 - 02 - 0
1 - 04 - 0
0 - 02 - 0
1 - 020 8 6 2 0 12 1 11 일본 0 - 0
1 - 2- 1 - 0
3 - 21 - 1
3 - 01 - 1
1 - 015 8 4 3 1 11 6 5 바레인 0 - 1
0 - 22 - 3
0 - 1- 1 - 0
1 - 11 - 0
1 - 010 8 3 1 4 6 8 -2 카타르 0 - 0
0 - 40 - 3
1 - 11 - 1
0 - 1- 3 - 0
0 - 46 8 1 3 4 5 14 -9 우즈베키스탄 0 - 1
0 - 20 - 1
1 - 10 - 1
0 - 14 - 0
0 - 3- 4 8 1 1 6 5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