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은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아시아 지역 예선으로, 3차 예선을 통과한 10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 상위 2개 팀은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3위 팀은 최종 예선 후 플레이오프를 거쳐 최종 진출팀을 가렸다. A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와 일본이, B조에서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는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남은 0.5장의 출전권을 놓고 바레인과 사우디아라비아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바레인이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승리하여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은 20개 팀이 참가하여 5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각 조 상위 2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하는 월드컵 본선 진출 아시아 국가를 가리는 예선전의 세 번째 단계이다.
  • 2009년 4월 - 레슬매니아 XXV
    레슬매니아 XXV는 2009년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열린 WWE의 연례 페이퍼뷰 이벤트로, 25주년을 기념하며 CM 펑크, 크리스 제리코, 언더테이커, 존 시나, 트리플 H 등이 경기를 펼쳤다.
  • 2009년 4월 - 2009년 라퀼라 지진
    2009년 4월 6일 이탈리아 라퀼라 인근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6.3의 지진으로 라퀼라와 주변 지역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여 300명 이상의 사망자와 수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부실 건축과 지진 예측 논란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 2008년 11월 - 2008년 뭄바이 테러
    2008년 11월 26일부터 29일까지 인도 뭄바이에서 파키스탄 기반의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 단체 라슈카르-에-타이바 소속 테러리스트들이 일으킨 연쇄 테러로 166명이 사망하고 293명 이상이 부상당했으며 주요 건물들이 파괴되었다.
  • 2008년 11월 - 2008년 뉴질랜드 총선
    2008년 뉴질랜드 총선은 경제 성장 둔화와 사회 불안으로 노동당 정부의 지지율이 하락한 가운데 치러진 조기 총선으로, 국민당이 승리하여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이름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경기 기간2008년 9월 6일 ~ 2009년 6월 17일
참가 팀 수10
경기 수40
최다 득점자팀 케이힐 (오스트레일리아)
자바드 네쿠남 (이란)
박지성 (대한민국)
이근호 (대한민국)
파호드 타지예프 (우즈베키스탄)
득점 수3
이전 대회2006
다음 대회2014

2. 참가국 및 시드 배정

3차 예선에서 각 조 2위까지, 총 10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이 팀들은 네 개의 포트로 나뉘어 조 추첨을 진행했다. 1~3포트는 두 팀씩, 4포트는 네 팀이 배정되었다.[11]

1포트2포트3포트4포트



시드 배정은 2006년 FIFA 월드컵 성적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오스트레일리아(16강), 대한민국(1승 1무 1패) 순으로 1포트에 배정되었다. 이란(1무 2패, 득실차 -4),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순으로 시드가 배정되었는데, 일본과 사우디아라비아는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동률(1무 2패, 득실차 -5, 2득점)을 기록하여 조 추첨 전에 별도의 추첨을 진행했다. 그 결과 일본이 4위, 사우디아라비아가 5위로 결정되었다. 6위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바레인이 차지했고, 나머지 팀들은 시드 없이 추첨을 통해 2개 조로 나뉘었다.

최종 예선 조 추첨은 2008년 6월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

3. 경기 결과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서는 각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총 8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색상 기준
style="background:#cfc; width:30px;"|본선에 직행한 조 1위와 조 2위 팀
style="background:#ccf; width:30px;"|AFC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조 3위 팀
style="background:#ffcccc; width:30px;"|조별 예선에서 탈락한 팀



자세한 경기 결과는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3. 1. A조

0 - 02 - 0
1 - 04 - 0
0 - 02 - 0
1 - 020862012111 일본0 - 0
1 - 2-1 - 0
3 - 21 - 1
3 - 01 - 1
1 - 01584311165 바레인0 - 1
0 - 22 - 3
0 - 1-1 - 0
1 - 11 - 0
1 - 010831468-2 카타르0 - 0
0 - 40 - 3
1 - 11 - 1
0 - 1-3 - 0
0 - 468134514-9 우즈베키스탄0 - 1
0 - 20 - 1
1 - 10 - 1
0 - 14 - 0
0 - 3-48116510-5


주요 선수

3. 2. B조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B조에서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각각 조 1, 2위를 차지하여 월드컵 본선에 직행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조 3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최종적으로 탈락했다.[2]

경기수득점실점골득실승점
대한민국8440124+81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833275+212
사우디아라비아833288012
이란825187+111
아랍에미리트8017617−111


경기 결과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대한민국-1 - 0
1 - 1
0 - 0
2 - 0
1 - 1
1 - 1
4 - 1
2 - 0
168440124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 - 1
0 - 1
-1 - 0
0- 0
0 - 0
1 - 2
2 - 0
2 - 1
128332752
사우디아라비아0 - 2
0 - 0
0 - 0
0 - 1
-1 - 1
2 - 1
3 - 2
2 - 1
128332880
이란1 - 1
1 - 1
2 - 1
0 - 0
1 - 2
1 - 1
-1 - 0
1 - 1
118251871
아랍에미리트0 - 2
1 - 4
1 - 2
0 - 2
1 - 2
2 - 3
1 - 1
0 - 1
-18017617-11

3. 3. 대한민국 경기 결과 (B조)

대한민국은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B조에서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아랍에미리트와 경기를 치렀다. 대한민국은 최종 예선에서 4승 4무로 무패를 기록하며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 지었다. 특히, 이란 원정에서는 박지성이 후반 36분에 극적인 동점골을 기록하며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원정 경기는 중립 지역인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되었다.

3. 3. 1. 경기 상세


4. 득점 선수

득점선수국가
3골이근호, 박지성대한민국
3골팀 케이힐오스트레일리아
3골자바드 네쿠남이란
3골파호드 타지예프우즈베키스탄
2골브렛 에머턴, 조슈아 케네디, 스콧 치퍼필드, 마크 브레시아노, 해리 큐얼, 마일 스터조브스키, 데이비드 카니오스트레일리아
2골마흐무드 압둘라만바레인
2골마수드 쇼자에이이란
2골다마다 게이지, 나카무라 슌스케, 다나카 마르쿠스 툴리오일본
2골문인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골기성용, 박주영대한민국
2골나이프 하자지사우디아라비아
1골살만 이사, 압둘라 파타디, 파우지 무바라크 아이쉬바레인
1골메흐디 마다비키아, 카림 바게리, 알리 카리미이란
1골엔도 야스히토, 나카무라 겐고, 다나카 다쓰야, 오카자키 신지일본
1골안철혁, 홍영조, 정대세, 최금철, 박남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골곽태휘, 김치우대한민국
1골마즈디 시디크, 마지드 모하메드, 탈랄 알블루시, 세바스티안 소리아, 알리 아피프카타르
1골사드 알하르티, 압도 아우테프, 아흐메드 알프라이디, 오사마 알무왈라드사우디아라비아
1골바시르 사이드, 수바이트 카테르, 압둘라힘 주마, 이스마일 알함마디, 모하메드 알셰히, 이스마일 마타르아랍에미리트
1골막심 샤츠키흐, 안바리온 솔리에프우즈베키스탄
자책골선수국가
자책골다나카 마르쿠스 툴리오일본 (바레인 전)
자책골아흐메드 파리스 알비날리카타르 (일본 전)
자책골파레스 주마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비아 전)


참조

[1] 웹사이트 FIFA World Cup qualification (AFC) 2010, football - table and standings https://soccer365.me[...] 2024-04-13
[2] 웹사이트 FIFA World Cup qualification (AFC) 2010, football - table and standings https://soccer365.me[...] 2024-04-13
[3] 뉴스 Iranian football team shows support for Mousavi with green arm bands at Seoul World Cup qualifier https://www.telegrap[...] 2009-06-17
[4] 뉴스 Iranian players receive life bans for gestures http://www.irishtime[...] 2009-06-25
[5] 뉴스 Iran denies punishing players for wearing green wristbands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9-06-25
[6] 뉴스 Iran Did Not Suspend Players, Coach Says http://goal.blogs.ny[...] 2009-06-27
[7] 뉴스 Iranian football team shows support for Mousavi with green arm bands at Seoul World Cup qualifier http://www.telegraph[...] 2009-06-17
[8] 뉴스 Iranian players receive life bans for gestures http://www.irishtime[...] 2009-06-25
[9] 뉴스 Iran denies punishing players for wearing green wristbands http://www.telegraph[...] The Daily Telegraph 2009-06-25
[10] 뉴스 Iran Did Not Suspend Players, Coach Says http://goal.blogs.ny[...] The New York Times 2009-06-27
[11] 문서 일본과 사우디아라비아는 4위로 동일한 시드였지만, 최종 예선 대진표 작성시에 무작위 선택으로 인해 분리되었다. 4번째 시드는 일본이, 5번째 시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각각 받았다.
[12] 문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과의 홈 경기를 중립국 중국 상하이 홍커우 경기장에서 치렀다. 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의 국기]] 게양과 [[대한민국의 국가]] 연주를 거부한 사실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